
영양유전체
유전체의 정보를 빅데이터화 해서 저장, 가공하여
관련 영양소를 천연식물에서 스캔합니다.
똑같이 햇볕을 보지 못하고 실내 생활만 하는데 왜 혈중 비타민 D 농도에 차이가 있을까?
이는 비타민 D의 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차이 때문입니다.

이 때, 관여하는 대표적인 유전자가 VDR(Vitamin D Receptor)입니다.
실제 VDR 유전자에 변이가 있으면 혈중 비타민D 농도가 낮고, 골다공증 및 대장암, 유방암 등 비타민D 와 관련한 질병들이 더 잘 생깁니다.
이처럼 영양 대사 관련 유전자 들을 분석하면,
개인의 유전적 특성을 알고, 어떤 영양소가 내게 필요한 영양소인지, 어떤 영양소가 부족한 영양소인지, 대사가 잘되는지 알수 있기 때문에,
질병의 예방이나,건강의 케어 면에서 커다란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한젠바이오는 유전자 분석기관 ㈜한젠과 협력 연구로, 영양대사관련 유전체의 정보를 빅데이터화 해서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가공하여, 관련 영양소를 천연식물에서 스캔하고 있습니다.
영양유전체

Ⅰ. 정의
뉴트리게노믹스(Nutrigenomics)
*식이요법이 유전자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과
*개개인의 개별 유전적 차이가
음식에서 비타민, 무기질 및 화합물을 재생시키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입니다.
Ⅱ. 영양대사유전자 검사목적
영양유전체 뉴트리게노믹스 검사는 당신의 DNA를 분석하여 당신의 유전자와 영양 반응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을 것입니다. DNA sequencing과 그 후의 분석 덕분에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및 미네랄과 같은 영양소에 대한 신체의 반응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식이요법을 적응시킬 때 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 MTHFR 유전자의 변이군의 경우 인체내 엽산 대사효소가 25%정도만 작동하므로, 이 유전자 변이군은 혈중 엽산 함량이 정상 유전자군에 비해 현저히 부족하게 되는 자기자신의 몸상태를 알고, 활성형 엽산을 보충해야만 이차적인 질병을 예방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Ⅲ. 전망
영양유전체학의 결과를 보면서, 청사진을 읽는 방법을 배우고 타고난 유전자 디자인에 약점이 있는 곳에서 후성 유전체를 향상 (epigenetic improvement)을 하는 법을 배운 후에는, 현재의 기초 건강이 좋아지고 더욱 견고해집니다. 우리가 사는 방식은, 우리 가계의 대대손손 ,미래 세대의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