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농장원료연구

농업회사법인 에피젠 주식회사에서 연구를 위해 선정한 원료 소개입니다.

photo_2019-02-08_15-55-21.jpg

농장 원료 연구

​갈매보리수나무(산자나무)

sea-buckthorn-440795_1280.jpg

성분 및 이용
최근 산자나무(Hippophae rhamnoides L.)의 열매에서 새로운

4-히드록시신남아마이드(1)를 분리 및 보고  하였습니다.

산자나무의 열매는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슈퍼푸드의 일종으로서 비타민 C 및 E의

함량이 매우 높아 비타민 나무 열매, 혹은 시벅썬(sea buckthorn)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 열매를 활용한 다양한 기능성 식품, 화장품 등이 현재 한국에서 널리 유통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산자나무 열매 자체의 생리활성과 그 상업적 유용성 및 히드록시신남아마

이드 골격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고려해 볼 때, 이들 히드록시신남산 유도체들은 항산

화, 항노화, 항비만 및 항암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어 이들을 활용한 생리활성

물질 및 의약품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단삼

Gardenology.org-IMG_2926_rbgs11jan.jpg

성분 및 이용

단삼은 뿌리를 한약재로 이용한다. 최근에 뿌리로부터 여러 가지 종류의 화학성분을

분리했는데 탄시논류(Tanshinone I, Iso-Tanshinone I, Dihydro-Tanshinone I,

Tanshinone IIA, Iso-Tanshinone IIA, Hydroxy-Tanshinone IIA, Tanshinone IIB,

Cryptotanshinone, Iso-Cryptotanshinone), 밀티론(Miltirone), Danshenxinkun

A,B,C,Danshensu, Salvianolic acid A, B, C, Baicalin, Sitosterol, Doursterol, and

Isoferulic acid와 Protocatechuric aldehyde 등이다.


약리 작용은 혈관을 소통시키고 어혈을 제거하며(活血祛瘀), 종기나 상처가 부은 것

을 삭아 없어지게 하고 통증을 없애며(消腫止痛), 피를 잘 흐르게 하여 심신을 안정

시킨다(養血安神). 주로 관심병(冠心病 : 관상동맥경화성 심장병), 생리불순, 산후

어저(産後瘀疽), 가슴과 배(胸腹) 혹은 팔다리에 피가 맺혀 아플 때(肢體瘀血疼痛),

살갗에 생긴 종기가 곪아 터진 뒤 오래도록 낫지 않아 부스럼이 되는 병증(癰腫瘡

毒), 마음의 번뇌로 잠을 못자는 증상(心煩失眠) 등의 치료에 쓰인다.

출처: 농촌진흥청 농사로

Raffi Kojian,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 3.0 / legalcode

한속단

img6.jpg

성분 및 이용

한약재 한속단(韓續斷)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꿀풀과의 식물 속단

(Phlomis umbrosa)을 기원식물로 하고 있으며, 뿌리와 잎을 식품 원료로

사용할수 있다.


반면 천속단과는 생김새가 달라 구별하기 쉽지만, 생약명과 식물명을 혼동하기

쉬워 주의해야 한다.


예로부터 끊어진 것을 이어준다는 의미로 이름 지어진 한약재 속단(續斷)은 중국에

서 유래한 천속단(Dipsacus asperoides)이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경맥을 흐르게 하고 근골을 이어주며, 기를 도와 혈맥을

고르게 하며, 부인 산후의 모든 질병을 치료한다고 하지만, 식품공전에는 수록되지

않아 식품 원료로는 사용할 수 없다. 이 천속단은 산토끼꽃과에 속하는 식물로 우리

나라에서 자생하지 않는다.

출처: 농촌진흥청 농사로

bottom of page